[JavaScript] 백준 2577번 숫자의 개수

2023. 6. 26. 10:08나는 이렇게 학습한다/Data Structure

이 글은 백준 2577번 숫자의 개수를 풀이한다. 코드는 JavaScript로 구현하였다.

문제

세 개의 자연수 A, B, C가 주어질 때 A × B × C를 계산한 결과에 0부터 9까지 각각의 숫자가 몇 번씩 쓰였는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A = 150, B = 266, C = 427 이라면 A × B × C = 150 × 266 × 427 = 17037300 이 되고, 계산한 결과 17037300 에는 0이 3번, 1이 1번, 3이 2번, 7이 2번 쓰였다.

입력

첫째 줄에 A, 둘째 줄에 B, 셋째 줄에 C가 주어진다. A, B, C는 모두 1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예제 입력 1

150
266
427

출력

첫째 줄에는 A × B × C의 결과에 0 이 몇 번 쓰였는지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둘째 줄부터 열 번째 줄까지 A × B × C의 결과에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각각 몇 번 쓰였는지 차례로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예제 출력 1

3
1
0
2
0
0
0
2
0
0

제한

  • 시간: 1초
  • 메모리: 128MB

풀이

접근

1. 세 개의 숫자를 곱한 결과를 문자열로 변환

2. 문자열을 문자 배열로 변환

3. 문자 배열을 순회하면서 각 숫자의 등장 횟수를 객체에 저장

4. 0-9까지의 숫자에 대해 객체를 확인하여 등장 횟수를 출력 (숫자가 등장하지 않을 시, 0을 출력)

구현

내가 구현한 코드

const fs = require("fs");
const filePath = process.platform === "linux" ? "/dev/stdin" : "./input.txt";
let input = fs
  .readFileSync(filePath)
  .toString()
  .split("\n")
  .map((x) => +x);

let mult = String(input[0] * input[1] * input[2]);
let arr = Array.from(mult);
let countNum = {};

arr.forEach((num) => {
  if (!countNum[num]) {
    countNum[num] = 0;
  }
  countNum[num]++;
});

for (let i = 0; i < 10; i++) {
  console.log(countNum[i] ? countNum[i] : 0);
}

GPT 코드 리뷰

1. 변수명의 의미 전달

'countNum' 대신에 'digitCount' 와 같이 숫자 등장 횟수를 나타내는 변수명을 사용해라.
2. 숫자 등장 횟수 초기화

내가 짠 코드에서는 'countNum[num]'이 'undefined'인 경우에만 초기화를 수행하고 있다.
이를 간단하게 'countNum[num]' 으로 수정하여 코드를 단수화할 수 있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filePath = process.platform === "linux" ? "/dev/stdin" : "./input.txt";
const input = fs.readFileSync(filePath).toString().split("\n").map(Number);

const mult = String(input[0] * input[1] * input[2]);
const digits = Array.from(mult);
const digitCount = {};

digits.forEach((digit) => {
  digitCount[digit] = digitCount[digit] + 1 || 1;
});

for (let i = 0; i < 10; i++) {
  console.log(digitCount[i] || 0);
}

 

반응형